건 강

[스크랩] 금음체질

두타 2012. 2. 6. 19:25

금음체질 / 사상체질로는 태양인의 음체질입니다.
금음체질은 대장을 가장 강하게 담낭을 가장 약하게 태어난 체질입니다.

일반적으로 머리가 좋은 편이고, 사무능력이 뛰어나 모든 면에서 다양한 재능을 발휘하며,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한 의욕과 투지가 대단합니다. 대체적으로 의지가 강하고 고집이 세며 남들과 잘 타협하지 않습니다. 진취적이고 개혁적인 성향이 많은 편입니다. 다 그렇지는 않으나 신경질이나 화를 잘내는 성격에 속합니다. 겉으로 화를 잘 내므로 남들이 보기에는 성질이 급하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음악을 좋아하여 노래를 부르거나 듣는 것을 즐깁니다.

 

유익한 식단

 

(푸른잎채소) 배추, 상추, 양배추, 미나리, 시금치, 호박잎, 깻잎, 고사리, 신선초, 케일, 쑥, 쑥갓 등 배추김치, 된장 등 식물성 발효식품, 등푸른 생선(꽁치, 청어, 멸치, 갈치, 숭어, 전어 등)이 좋으나 기름기는 제거할 것, 김, 미역, 다시마, 파래, 대합조개, 피조개, 모시조개, 갈매기조개, 개조개, 재첩 전복등 모든 조개류, 청포도, 키위, 귤, 오렌지, 딸기, 토마토, 앵두, 파인애플, 쌀, 메밀, 겨자, 후추, 코코아, 젓갈, 모과차, 오이, 가재

 

해로운 식단
소, 닭, 돼지, 개, 오리, 염소, 양, 노루, 계란노른자, 햄, 소세지, 우유, 요구르트, 치즈, 버터, 라면, 자장면, 빵(밀가루음식), 참기름, 들기름, 호두기름, 현미유, 올리브유, 식용유, 튀긴 음식, 볶은 음식, 배, 사과, 검은포도, 수박, 메론, 무, 당근, 마늘, 양파, 연근, 도라지, 더덕, 콩나물, 우엉(뿌리채소), 장어 , 미꾸라지, 메기, 조기, 명태, 잉어, 가물치, 새우, 굴, 해삼, 밤, 잣, 은행, 호두, 땅콩, 아몬드,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송이버섯, 영지버섯, 운지버섯, 상황버섯(모든 버섯류), 호박, 박, 커피, 설탕, 고추, 수수, 콩, 율무, 마, 살구씨, 칡, 고구마, 인공조미료
 
 
구분 아침 점심 저녁 간식
쌀밥, 파국, 김,
미역초무침, 깻잎,
시금치무침,
북어조림,오징어젓
김초밥, 시래기국 메밀밥, 오징어국,
백김치,미나리무침,
파래,뱅어포,
꽁치구이
귤, 감
쌀밥, 냉이국,
김무침, 배추무침,
호박잎, 양배추쌈,
멸치조림
비빔밥, 배추국 메밀밥, 조개미역국,
미역초무침, 멸치볶음, 고사리나물,
갈치구이
포도, 모과차
쌀밥, 시금치국, 김,
백김치, 깻잎,
미나리무침,
오징어젓
쌈밥, 배추국 메밀밥, 시래기국,
시금치무침,상추쌈,
오징어채무침,
북어찜
키위쥬스, 약식
쌀밥, 북어국, 김,
배추김치, 뱅어포,
멸치조림
생선초밥, 시금치국 메밀밥, 김치찌개,
김무침, 고사리나물,
깻잎, 꽁치구이
식혜
쌀밥, 시래기국,
백김치,파래,멸치볶음, 오징어무침
김치볶음밥, 냉이국 쌀밥, 대구탕,
김미역초무침,
오징어젓,배추무침
코코아, 약식
메밀밥, 국,
백김치, 깻잎,
양배추쌈, 갈치조림, 고사리나물
떡국, 상추겉절이 쌀밥, 생태찌개,
파래, 파부침,
멸치조림,오징어젓
모과차
메밀밥, 냉이국, 김,,
백김치, 시금치무침,
미나리무침, 삼치구이
생선회, 덮밥 쌀밥, 해물탕,
미역초무침, 배추무침,멸치볶음, 고사리나물
귤, 감
 
 

양기가 좋아지는 음식
전복, 조개류, 재첩, 바다가재

변비에 좋은 음식
메밀, 배추, 상추, 양배추, 신선초, 케일, 총포도, 오이, 키위, 참외, 양배추즙, 신선초즙, 케일즙 등 섬유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푸른잎채소가 좋습니다. 메밀도 좋으니 메밀음식을 많이 먹는 것도 좋습니다.

간장병에 좋은 음식
전복, 재첩, 백합조개, 조개류, 모과, 녹즙, 오이, 새우, 굴, 해삼, 재첩국, 백합조개국, 전복국, 바지락국, 조개국, 배춧국, 시래기국, 쑥국, 미나리국, 시금치국, 녹즙

위장병에 좋은 즙
양배추즙, 케일, 신선초 등을 이용한 녹즙, 미나리즙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야채
배추, 상추, 양배추, 시금치, 미나리, 쑥, 케일, 신선초, 고사리 등의 잎채소가 좋다. 갓, 열무, 깻잎, 부추 등 매운 맛을 내는 잎채소는 조금 해로운 편이다.

속 쓰릴 때 좋은 음식
양배추즙, 쑥국, 배춧국, 시금치국

어린이를 건강하게 키우는 법
분유나 우유를 먹이지 말고 모유를 먹인다. 전복, 조개 등을 삶아서 국물을 자주 먹인다. 쌀이나 다른 곡류를 이용하여 죽 같은 것을 만들어 먹인다. 과일 중에서는 청포도를 많이 먹인다.

당뇨에 좋은 밥과 음식
밥에는 보리를 많이 넣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보리나 팥을 같이 넣는 것이 더욱 좋다. 미나리(즙), 케일(즙), 신선초(즙), 오이(즙), 조개류

골다공증이나 골절에 도움이 되는 음식
조개껍질이나 진주, 굴껍질에서 추출한 칼슘제, 멸치, 여러가지 조개요리, 게 추출물, 새우, 시금치, 고사리등

감기에 좋은 음식
조개국, 재첩국, 전복국, 배춧국, 시래기국 등을 끓여 마시고 몸은 땀이 나지 않을 정도로 따뜻하게만 조리한다.

감기예방법
땀을 많이 내지 말아야 한다. 콩나물, 무, 양파, 파, 마늘 등의 뿌리채소는 땀구멍을 열어서 땀을 내게 하므로 그런 것을 먹으면 감기에 잘 걸린다. 목욕을 하거나 머리를 감을 때는 마지막 헹구는 물을 약간 차가운 물로 하여 땀구멍을 막고 나오는 것이 좋다. 특히 머리와 얼굴부위 그리고 남자의 경우에는 성기부분을 찬물로 헹구고 나오면 감기가 잘 들지 않는다. 헤어드라이어의 온풍을 이용하여 머리를 말리면 감기가 쉽게 드니 찬바람으로 말리는 것이 좋다. 평소에 비타민 C를 복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식사 후에 마시면 건강에 도움이 되는 차와 음료
녹차, 레몬차, 모과차, 솔잎차, 코코아(우유가 들지 않은것), 청포도주스, 감잎차

금음체질에 맞는 술
백포도주, 맥주, 모과주, 앵두주, 솔잎주, 다래주, 오가피주등
(아무리 체질에 맞는 술이라 하더라도 과량이 되면 반드시 건강을 해치게 된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금음체질에 좋은 밥
일반 쌀에다가 자신의 증세에 따라 보리나 찹쌀, 현미를 가합니다. 고혈압, 당뇨, 천식, 피부병, 알레르기 등의 질환에는 보리를 가하고 저혈압, 설사, 무력증 등의 질환에는 찹쌀이나 현미를 가하여 드시면 됩니다.

부기를 잘 빼주는 음식
녹차, 조개류, 전복, 재첩, 메밀

출산 후 몸조리에 좋은 음식
전복, 재첩, 조개류, 새우, 해삼, 굴, 미더덕, 게, 전복국, 바지락국, 조개국, 재첩국, 시래기국, 배춧국, 시금치국, 조개 넣은 미역국

중풍을 쉽게 유발시키는 음식
육류(소, 닭, 돼지, 염소 등), 유제품(우유, 치즈, 버터 등), 밀가루음식, 기름진 음식, 뿌리채소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음식
모든 육식(소, 닭, 돼지, 염소, 계란 노른자), 유제품(우유, 요구르트, 치즈, 버터 등), 모든 기름, 장어, 기름진 음식(튀긴음식, 볶은 음식), 견과류(밤, 잣, 호도, 땅콩, 아몬드)등

당뇨를 잘 일으키는 음식
녹용, 개소주, 흑염소, 사슴중탕, 인삼

 
 
모든 색깔에는 파장이 있습니다.
파장은 우리가 입고 있는 옷에도 들어 있어서 우리 몸의 혈액에 영향을 미칩니다. 각 체질별로 이로운 색과 해로운 색이 있는데, 이로운 색은 혈액의 흐름을 원활히 하지만 해로운 색은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고 어혈을 만듭니다.

금음체질에게 이로운 색은 푸른색 계통이기 때문에 이 색을 입으면 혈액순환이 잘 되어 건강해집니다. 반면 해로운 색은 흰색입니다. 이색을 입으면 혈액순환의 방해를 받게 되어 병이 오게 됩니다.

 
 

생명의 유기물질이라는 뜻을 가지는 비타민이 처음 나왔을 때 사람들은 그것을 얼마든지 먹어도 좋기만 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비타민은 종류에 따라 어떤 것은 평생 먹어도 좋기만 한 것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조금만 먹어도 과잉증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사람이 있습니다. 즉, 그 좋고 나쁨이 사람의 체질마다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금음체질에게 이로운 비타민은 C입니다.
비타민 C는 금음체질이 가장 약하게 태어난 담낭이라는 장기를 강화시켜 줍니다. 그러므로 금음체질에게 비타민 C는 평생을 먹어도 좋은 비타민인 것입니다.

반면, 금음체질에게 해로운 비타민은 A,D,E입니다.
비타민 A,D는 대장기능을 돕는 피타민인데 금음체질은 가장 강하게 태어난 장기가 대장이기 때문에 폐를 더욱 강화시키는 비타민 A,D는 해로운 것입니다. 또 비타민 E는 두번째로 강하게 태어난 방광을 더욱 강하게 하는 비타민이기 때문에 해로운 것입니다.

 
 

금음체질은 단전호흡이 해롭습니다.
요즘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단전호흡은 우리가 호흡을 하는 중에 들이쉬는 공기로부터 얻어지는 천기(공기 중에 있는 기운)를 우리의 몸 속에 잘 끌어들이고 또한 고루 순환시켜서 건강증진과 질병치료에 도움을 받고자 하는 것입니다. 단전호흡은 호기(내쉬는 숨) 보다 흡기(들이쉬는 숨)를 중시하는 호흡법입니다. 단전호흡은 폐, 기관지 등 호흡기의 허약한 기운을 강화시키는 호흡이므로 개개인의 체질에 따라 몸에 미치는 영향이 틀리게 됩니다.

금음체질은 호흡기의 기능을 다른 장기의 기능에 비해 선천적으로 과강하게 태어났기 때문에 단전호흡을 하게 되면 과강한 호흡기의 기능이 더욱 강해져서 오장육부의 균형과 조화가 깨어지므로 일상적인 호흡으로 생활 할 때보다 더 건강이 나빠지게 됩니다.

<< 금음체질의 호흡법 >>
1. 호흡시에 흡기를 최대한 들이쉬지 말고 폐 용량의 50~80%만 들이 쉰다.
2. 흡기 후 호흡을 멈춰서 기를 폐에 저장하지 말고 곧바로 호기를 시작하여 공기를 천천히 폐에서 몰아낸다 이때 너무 심하게 내쉬면 달기되어 어지러우므로 자신의 체력에 맞게 적당히 조절한다.
3. 공기를 내쉰 상태에서 잠시 숨을 멈춘다.
 
 

사람들은 흔히 피로를 느낀다거나 질병에 시달리면 운동을 하지 않아서 그렇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부족한 운동 때문에 건강이 좋지 않다고 생각하고 아무 운동이나 하면 건강이 회복될 것이라 여기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 것입니다. 각각의 음식마다 몸에 흡수되어 하는 역할이 틀리듯 운동도 각각 몸에서 일으키는 작용이 틀립니다.

즉, 자신의 체질적 특성과 맞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운동이 따로 있고 체질적 특성과 맞지 않아 건강을 해치는 운동이 따로 있는 것입니다.

자신의 체질적 특징에 따른 운동을 선택하여 꾸준히 하면 건강도 좋아지고 질병의 치료에도 도움이 됩니다. 금음체질은 기가 몸의 내부보다는 외부에 많이 모여 있어서 땀을 많이 내는 운동을 하게 되면 오히려 건강이 나빠지고 땀이 나지 않는 운동을 해야 건강이 좋아지는 것입니다.

<< 금음체질의 운동 >>
수영, 냉수마찰, 요가, 맨손체조, 걷기, 산책, 가벼운 등산, 다이빙, 수구, 양궁, 가능한 땀이 적게 나는 운동. 마라톤

 
 
사람들은 보통 운동을 하거나 한증탕에 가서 땀을 흘려야만 몸 속의 노폐물이 땀과 함게 배출되어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땀은 체온을 조절하는 역할과 피부의 습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땀의 기능 중에 중요한 또 하나의 역할이 몸 속의 기를 끌고 다니는 것입니다. 즉 몸을 덥게 해서 땀구멍이 열려 땀이 나면 몸의 내부에 있던 기가 땀을 따라 몸의 외부로 나와서 순행하게 되고 몸을 차게 해서 땀을 내지 않으면 몸의 외부에 있던 기가 몸의 내부로 들어가서 잠복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땀의 역할 때문에 땀을 흘리는 것이 어느 체질의 건강에는 좋게 작용하지만 어느 체질의 건강에는 도리어 나쁘게 작용하는 것입니다.

금음체질은 기가 몸의 내부보다는 외부에 많이 분포되어 있어 땀구멍을 막아 외부에 흩어져 있는 기를 몸의 내부로 더 많이 들어오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처럼 무조건 땀을 많이 내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니라 가볍게 몸을 녹인 후 서늘한 물로 마무리를 하고, 자신의 체질적 특성에 따라야만 좋은 건강법이 되는 것입니다.

<< 목욕법 >>
1. 여름철에는 가능하면 차가운 물에 샤워를 합니다. 찬물에 꺼려지거나 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이라면 일단 따뜻한 물로 씻고 나서 목욕을 마칠 때에 차갑다 싶은 정도의 물로 샤워를 끝냅니다. 그것도 어려우면 따뜻한 물에 목욕을 하고 나서 여자의 경우에는 머리와 얼굴, 남자의 경우에는 머리와 얼굴, 성기를 차가운 물로 씻고 목욕을 마칩니다.
2. 겨울철에는 일단 땀이 많이 나지 않을 정도로 따뜻한 물에 목욕을 하고 난후 마칠 때는 차갑다 싶은 정도의 물로 샤워를 끝냅니다. 그것도 어려우면 따뜻한 물에 목욕을 하고 나서 여자의 경우에는 머리와 얼굴, 남자의 경우에는 머리와 얼굴, 성기를 차가운 물로 씻고 목욕을 마칩니다.
3. 냉온 교대욕을 할 경우에는 반드시 마지막 순서를 차가운 물에서 마치도록 합니다.
4. 남자의 경우에는 머리와 얼굴, 성기를 차가운 물로 싯고 목욕을 마치면 감기에도 잘 걸리지 않고 정력도 좋아집니다.
5. 뜨거운 물에 머리를 감거나 목욕을 할 때 땀을 많이 내면 힘이 빠지고 감기에도 잘 걸리니 가능하면 땀을 많이 내지 않는 방법으로 목욕을 해야 합니다.
6. 금음체질은 솔잎을 우려낸 물에 몸을 담그면 아주 좋습니다.

[출처] [펌] 금음체질3|작성자 푸른하늘

출처 : 행복한 인생 원리
글쓴이 : SunPro 원글보기
메모 :